JURASSIC MUSEUM
커뮤니티
서울신문 나우뉴스. [핵잼 사이언스] 공룡은 온혈동물? 냉혈동물?…오랜 수수께끼 답 나왔다
안면도쥬라기공원영농조합법인 (박물관) Tel : 041-674-5660 Fax : 041-674-5662 | 사업자등록번호 : 316-81-10998
태안군 별똥별 하늘공원 Tel : 070-7007-7096 | 별빛 쉼터 펜션 Tel : 0507-1330-3131
대표이사 : 임태영 | 주소 :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곰섬로 37-20(신온리 641-3)
Copyright 안면도쥬라기공원 All rights reserved. Created by 메이크홈즈 | Hosting by makehomes
반대로 ‘냉혈동물’로도 불리는 변온동물은 체온 조절 기관의 미발달로 외부온도의 영향으로 쉽게 변동하며 대표적으로 뱀같은 파충류가 이에 속한다. 한마디로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논쟁 속에 최근 이같은 논쟁의 중심에 서있는 양쪽을 모두 만족시킬 만한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연구팀은 공룡이 온혈인지 냉혈동물인지는 종에 따라 다르다는 연구결과를 세계적인 과학지 '네이처'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공룡 중 가장 유명한 육식공룡인 티라노사우루스 렉스와 벨로키랍토르는 온혈에 속하고 반대로 초식공룡인 트리케라톱스와 스테고사우루스는 냉혈동물에 속한다.
논문의 수석저자인 자스미나 위먼 연구원은 “공룡의 신진대사율은 현대 포유동물보다 높았으며 평균 체온이 42℃인 새와 비슷했다”면서 “다만 예외적으로 트리케라톱스와 스테고사우루스는 현대 냉혈동물과 비슷한 낮은 대사율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높은 신진대사율은 일반적으로 대량 멸종에서 살아남는 주요 이점으로 여겨왔으나 새와 비슷한 대사능력을 가진 공룡은 멸종했다"면서 "이번 연구는 공룡 자체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기후변화와 환경적 교란 등 현재 우리 시대를 이해하는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원문출처 :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276213?cds=news_my
기자 프로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