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출처_(KBS nes, 취재후) 2022년 1월 22일자

충남 부여군 세도면에서 발견된 공룡 알 추정 화석
■ "공룡 알로 추정되는 화석이 발견됐다" 사진 제보로 시작
충남 부여에서 공룡 알 로 추정되는 화석이 발견됐다는 사진 제보가 왔습니다.
흔치 않은 일이었기에 믿기 힘들었지만, 동시에 호기심이 생겨 곧장 부여로 향했습니다.
1시간여를 달려 도착한 부여의 화석 발견 현장은 생각보다 더 흥미로웠습니다. 겉으로 보기엔 토지 정비가 진행 중인 평범한 밭이었지만, 드러난 지층은 완연한 붉은 빛을 띠고 있었고, 지구과학 시간에나 배우던 퇴적층도 곳곳에 드러나 있었습니다.

공룡 알 추정 화석이 발견된 밭. 지층이 붉은빛을 띠고 있다
공룡 알로 추정되는 화석은 그중에서도 붉은빛 지층에 단단히 솟은 황톳빛 바위에 박혀 있었습니다.
모양이 온전한 타원형 화석이었는데, 긴 쪽의 길이가 20㎝, 짧은 쪽이 10㎝ 정도였습니다.
옆에는 반쯤 잘린 듯한 알 밑동 모양 같은 화석이 있었고, 알이 있었던 것 같은 자국과 깨진 껍데기 모양 등 대여섯 군데에도 비슷한 흔적이 더 남아 있었습니다.
보기만 해도 신기한데, 직접 만져보니 기분이 묘했습니다.
■ '공룡 아빠' 이융남 교수, "공룡 알 화석 확실"
공룡 알로 추정되는 화석의 사진을 몇 장 찍어 서울대학교 이융남 교수에게 확인을 부탁했습니다.
이융남 교수는 공룡 연구와 관련한 국내 최고 권위자 가운데 한 명으로 '공룡 아빠'로 불리는 분입니다.
이 교수는 "해당 지역은 부여에서 나오는 백악기 분지 지층이다. 백악기 중생대 기간에 그렇게 큰 알을 낳는 생물은 공룡 말고는 없다"며 공룡 알 화석이 확실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2013년에 발견된 것과 달리 알이 길쭉한 타원형이어서 '육식공룡'의 가능성이 크다"고 추측했습니다.
부여군 역시 1차 조사를 통해 공룡 알 화석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지질연구원 등의 분석을 거쳐 공룡 알인 것으로 확정되면 '매장 문화재'로 분류돼 국가에 귀속된 뒤 문화재청이 연구를 맡게 됩니다.
■ 2013년 첫 발견지와 900여 미터 떨어져…집단 서식 가능성은?
부여에서 공룡 알 화석이 처음 발견된 건 지난 2013년입니다. 이번에도 공룡 알 화석이 맞는다면 두 번 째 발견되는 것입니다.
2013년 당시에는 둥근 모양의 공룡 알 화석 10여 개가 발견됐는데, 이번에 공룡 알로 추정되는 화석이 발견된 곳과는 불과 900여 미터 떨어져 있습니다.
첫 발견 현장의 토양 역시 1억 3천500만 년에서 6천5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지층으로 보이는 붉은 색이어서, 이 일대가 백악기 공룡의 집단 서식지였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2013년 공룡 알 화석 발견지와 올해 공룡 알 화석 발견지의 거리는 900여 미터. 집단 서식지 가능성도 제기된다.
■ 공룡 알 화석 발견의 대가(?)…평범한 부여 농민 조금연 씨
이번에 공룡 알로 추정되는 화석을 발견한 사람은 부여에 사는 주민 '조금연 씨'입니다. 농사도 짓고 이웃들의 땅도 정비해주는 평범한 농민입니다.
그런데 2013년 부여에서 첫 공룡 알 화석을 발견한 것도 조금연 씨였습니다.
당시 이웃의 태양광 패널 설치 용지에 땅을 골라주다가 공룡 알 화석을 발견했고, 이번엔 친구의 밭 정비 작업을 둘러보다 화석을 발견했습니다.

공룡 알 화석 발견자 조금연 씨(사진 오른쪽). 전문가 못지않은 식견으로 화석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조 씨는 공룡 알을 어떻게 알아봤냐는 질문에 "공룡 알 껍데기 성분이 모래나 돌과는 달라 식별하는 게 어렵지 않다"며, "세도면 면적 50% 정도가 비슷한 성질의 토양을 가지고 있다"고 했습니다.
보통 사람 같았으면 공룡 알 화석을 알아보지 못하고 바위를 대수롭지 않게 깨거나 덮어버릴 수도 있었지만, 조 씨를 만난 덕에 공룡 알 화석들의 '가치'가 되살아난 겁니다.
갓 7살이 된 제 딸에게 공룡 알로 추정되는 화석을 만져봤다고 자랑하자 딸 아이는 아빠처럼 기자가 되고 싶다고 말합니다. 맨날 늦게 퇴근해 제대로 놀아주지도 못하는 딸에게 기자 아빠로서 인정받는 것 같아 기분 좋고 흥미로운 취재였습니다.
박연선 기자 zion@kbs.co.kr
원문링크: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78914&ref=A
기사출처_(KBS nes, 취재후) 2022년 1월 22일자
■ "공룡 알로 추정되는 화석이 발견됐다" 사진 제보로 시작
충남 부여에서 공룡 알 로 추정되는 화석이 발견됐다는 사진 제보가 왔습니다.
흔치 않은 일이었기에 믿기 힘들었지만, 동시에 호기심이 생겨 곧장 부여로 향했습니다.
1시간여를 달려 도착한 부여의 화석 발견 현장은 생각보다 더 흥미로웠습니다. 겉으로 보기엔 토지 정비가 진행 중인 평범한 밭이었지만, 드러난 지층은 완연한 붉은 빛을 띠고 있었고, 지구과학 시간에나 배우던 퇴적층도 곳곳에 드러나 있었습니다.
공룡 알로 추정되는 화석은 그중에서도 붉은빛 지층에 단단히 솟은 황톳빛 바위에 박혀 있었습니다.
모양이 온전한 타원형 화석이었는데, 긴 쪽의 길이가 20㎝, 짧은 쪽이 10㎝ 정도였습니다.
옆에는 반쯤 잘린 듯한 알 밑동 모양 같은 화석이 있었고, 알이 있었던 것 같은 자국과 깨진 껍데기 모양 등 대여섯 군데에도 비슷한 흔적이 더 남아 있었습니다.
보기만 해도 신기한데, 직접 만져보니 기분이 묘했습니다.
■ '공룡 아빠' 이융남 교수, "공룡 알 화석 확실"
공룡 알로 추정되는 화석의 사진을 몇 장 찍어 서울대학교 이융남 교수에게 확인을 부탁했습니다.
이융남 교수는 공룡 연구와 관련한 국내 최고 권위자 가운데 한 명으로 '공룡 아빠'로 불리는 분입니다.
이 교수는 "해당 지역은 부여에서 나오는 백악기 분지 지층이다. 백악기 중생대 기간에 그렇게 큰 알을 낳는 생물은 공룡 말고는 없다"며 공룡 알 화석이 확실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2013년에 발견된 것과 달리 알이 길쭉한 타원형이어서 '육식공룡'의 가능성이 크다"고 추측했습니다.
부여군 역시 1차 조사를 통해 공룡 알 화석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지질연구원 등의 분석을 거쳐 공룡 알인 것으로 확정되면 '매장 문화재'로 분류돼 국가에 귀속된 뒤 문화재청이 연구를 맡게 됩니다.
■ 2013년 첫 발견지와 900여 미터 떨어져…집단 서식 가능성은?
부여에서 공룡 알 화석이 처음 발견된 건 지난 2013년입니다. 이번에도 공룡 알 화석이 맞는다면 두 번 째 발견되는 것입니다.
2013년 당시에는 둥근 모양의 공룡 알 화석 10여 개가 발견됐는데, 이번에 공룡 알로 추정되는 화석이 발견된 곳과는 불과 900여 미터 떨어져 있습니다.
첫 발견 현장의 토양 역시 1억 3천500만 년에서 6천5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지층으로 보이는 붉은 색이어서, 이 일대가 백악기 공룡의 집단 서식지였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공룡 알 화석 발견의 대가(?)…평범한 부여 농민 조금연 씨
이번에 공룡 알로 추정되는 화석을 발견한 사람은 부여에 사는 주민 '조금연 씨'입니다. 농사도 짓고 이웃들의 땅도 정비해주는 평범한 농민입니다.
그런데 2013년 부여에서 첫 공룡 알 화석을 발견한 것도 조금연 씨였습니다.
당시 이웃의 태양광 패널 설치 용지에 땅을 골라주다가 공룡 알 화석을 발견했고, 이번엔 친구의 밭 정비 작업을 둘러보다 화석을 발견했습니다.
조 씨는 공룡 알을 어떻게 알아봤냐는 질문에 "공룡 알 껍데기 성분이 모래나 돌과는 달라 식별하는 게 어렵지 않다"며, "세도면 면적 50% 정도가 비슷한 성질의 토양을 가지고 있다"고 했습니다.
보통 사람 같았으면 공룡 알 화석을 알아보지 못하고 바위를 대수롭지 않게 깨거나 덮어버릴 수도 있었지만, 조 씨를 만난 덕에 공룡 알 화석들의 '가치'가 되살아난 겁니다.
갓 7살이 된 제 딸에게 공룡 알로 추정되는 화석을 만져봤다고 자랑하자 딸 아이는 아빠처럼 기자가 되고 싶다고 말합니다. 맨날 늦게 퇴근해 제대로 놀아주지도 못하는 딸에게 기자 아빠로서 인정받는 것 같아 기분 좋고 흥미로운 취재였습니다.
박연선 기자 zion@kbs.co.kr
원문링크: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78914&ref=A